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플라시보 효과, 원리, 한계(정리)

by 하이바르 2023. 5. 1.

 

 

 

 

플라시보 효과

1. 개요

플라시보 효과는 많은 임상시험에서 발견되는 현상으로, 임상시험에서는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약물을 복용한 실험군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실제 약물의 효과가 아닌, 마치 약물을 복용한 것과 같은 기대감이나 자연적 호전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플라시보 효과

2. 플라시보 효과의 원리

플라시보 효과는 복용한 약물 자체가 아니라, 복용한 약물에 대한 기대감이나 환경적인 요인 등에 기인한다. 이는 임상시험에서 비교군으로 사용되는 대조군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즉, 대조군에서도 플라시보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복용한 약물이 진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차이를 분석해야 한다.

플라시보 효과는 신경생리학적, 심리학적, 생리학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2.1. 신경생리학적 요인
중추신경계의 특정 부위들이 플라시보 효과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뇌파 분석을 통해 플라시보 효과와 관련된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마치 실제 약물을 복용한 것과 같은 기대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2.2. 심리학적 요인
환자들의 마음 속에는 약물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등 다양한 감정이 존재한다. 이러한 심리학적인 요인들은 플라시보 효과를 유발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적인 요인들은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하며, 환자가 실제로 받은 치료보다 기대하는 치료가 더 효과적일 경우 플라시보 효과가 발생한다.

2.3. 생리학적 요인
인체의 생리학적인 요인도 플라시보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심장 박동수, 호흡, 혈압 등과 같은 생리학적 지표들은 실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호전될 수 있다.

 

 

 

 

플라시보 효과

3.플라시보 효과 한계

플라시보 효과는 임상시험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실제 치료에 대한 기대감을 증가시켜,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는 약물 복용이나 수술 전에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플라시보 효과의 발생으로 인해, 실제 치료의 효과가 과장되거나, 실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가 지연될 수도 있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는 대개 일시적인 것으로,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플라시보 효과

4.정리

임상시험에서 발생하는 플라시보 효과는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이나 환경적 요인 등에 기인한다. 이는 신경생리학적, 심리학적, 생리학적인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다. 플라시보 효과는 치료 효과를 증가시키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치료의 효과를 과장하거나, 실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라시보 효과의 발생 여부를 고려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시보 효과

반응형

댓글